HP 리눅스에서 하드 구성정보 (0) | 2009.11.25 |
---|---|
centos5 웹메일 SquirrelMail 웹메일 설정 (1) | 2009.07.29 |
centos5 DNS네임서버 구축 -bind설정- (0) | 2009.07.28 |
SELINUX 설정 해제 하기 (0) | 2009.07.15 |
리눅스 하드디스크 배드 블럭 점검 badblocks (0) | 2009.07.14 |
Centos5.3 네임서버 설정 -실제도메인 적용-
Centos5.3 에서 실제 도메인을 사서 적용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기록한 내용입니다.
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1. 도메인 구입처에서 도메인을 따고 네임서버을 등록한다
도메인명 : a.co.kr
IP : 221.X.X.X (네임서버사용할 IP 즉 BIND가 설치될 서버의 IP)
=> 참고로 1차 네임서버만 지정했습니다.
2. Centos에서 bind 설치확인 (caching-nameserver 설치요망)
[test]# rpm -qa | grep bind
ypbind-1.19-11.el5
bind-libs-9.3.4-10.P1.el5_3.1
bind-9.3.4-10.P1.el5_3.1
bind-utils-9.3.4-10.P1.el5_3.1
bind-chroot-9.3.4-10.P1.el5_3.1
[mail]# rpm -qa | grep nameserver
caching-nameserver-9.3.4-10.P1.el5_3.1 => 없으면 yum 으로 설치한다.
yum install caching-nameserver
3. conf 설정 /etc/named.caching-nameserver.conf 수정
options {
listen-on port 53 { any; };
listen-on-v6 port 53 { ::1; };
directory "/var/named";
dump-file "/var/named/data/cache_dump.db";
statistics-file "/var/named/data/named_stats.txt";
memstatistics-file "/var/named/data/named_mem_stats.txt";
// Those options should be used carefully because they disable port
// randomization
query-source port 53;
query-source-v6 port 53;
allow-query { any; };
};
logging {
channel default_debug {
file "data/named.run";
severity dynamic;
};
};
view localhost_resolver {
match-clients { any; };
match-destinations { any; };
recursion yes;
include "/etc/named.rfc1912.zones";
};
4. zone파일 설정은 /etc/named.rfc1912.zones 추가 =>a.co.kr에 대한 존파일 설정(a.zone)
zone "a.co.kr" IN {
type master;
file "a.zone";
allow-update { none; };
};
5. /var/named/chroot/var/named 에 zone파일 생성 (a.zone)
$TTL 43200
@ IN SOA @ root (
42 ; serial (d. adams)
3H ; refresh
15M ; retry
1W ; expiry
1D ) ; minimum
IN NS ns.a.co.kr.
IN MX 10 mail.a.co.kr.
IN A 221.X.X.X
mail IN A 221.X.X.X
ns IN A 221.X.X.X
www IN A 221.X.X.X
ftp IN A 221.X.X.X
*심볼릭 링크 안걸려도 작동 확인
6. named 재시작
*chown root.named a.zone 존파일 권한 설정
7. PC nslookup 으로 도메인 질의 => 찾는다.
centos5 웹메일 SquirrelMail 웹메일 설정 (1) | 2009.07.29 |
---|---|
centos5 sendmail + pop3 설정+SMTPAUTH 사용 (3) | 2009.07.28 |
SELINUX 설정 해제 하기 (0) | 2009.07.15 |
리눅스 하드디스크 배드 블럭 점검 badblocks (0) | 2009.07.14 |
리눅스 HDD(하드디스크) 추가 하기 (0) | 2009.07.13 |
테스트중인 SAS 서버(LSI SAS-1064E장착)에 파일백업 받을게 있어서 테스트겸 SATA하드 홧스왑으로
붙여 봤는데 잘 작동 되네요..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서버 스펙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이슬림 : SV-2186 Dual
CPU : Intel 5130 Dual Core/2.0Ghz/FSB 1333Mhz / L2 캐쉬 4MB
RAM : FB-DIMM PC2-5300 1GB
크기 : IU
RAID : LSI-1064E SAS / HDD : 72GB*2 SAS / 추가 SATA 160GB*1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알테온 L4 스위치 Syslog 설정 (0) | 2016.10.16 |
---|---|
HP DL360G4 SCSI HDD장애 (0) | 2009.07.31 |
HP DL580G4 내부 팬에러 확인 및 교체 (0) | 2009.07.17 |
이슬림 SV-2186 & SV-2187 서버 RAID1 구성 장애처리 (0) | 2009.05.20 |
HP서버 최신버전으로 펌웨어 하자!!! --(2) (0) | 2009.05.14 |
HP DL580G4 팬 불량건으로 교체!!
HP System Tools => HP ProLiant intergrated management Log View 실행하면 장비에
발생되는 로그확인 가능
HP DL360G4 SCSI HDD장애 (0) | 2009.07.31 |
---|---|
이슬림 SV-2186 & SV-2187 SAS 컨트롤러에 SATA하드 핫스왑 장착 (0) | 2009.07.28 |
이슬림 SV-2186 & SV-2187 서버 RAID1 구성 장애처리 (0) | 2009.05.20 |
HP서버 최신버전으로 펌웨어 하자!!! --(2) (0) | 2009.05.14 |
HP서버 최신버전으로 펌웨어 하자!!! --(1) (0) | 2009.05.14 |
SELINUX 미국국가 안보국에서 개발한 오픈소스로 리눅스에 보단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지만 복잡하고
일부서비스가 제한되기 때문에 혹시 설정되어 있다면 해제하는 방법입니다.(2.6커널부터 지원)
/etc/selinux/config 열면
# This file controls the state of SELinux on the system.
# SELINUX= can take one of these three values:
# enforcing - SELinux security policy is enforced.
# permissive - SELinux prints warnings instead of enforcing.
# disabled - SELinux is fully disabled.
SELINUX=disabled
# SELINUXTYPE= type of policy in use. Possible values are:
# targeted - Only targeted network daemons are protected.
# strict - Full SELinux protection.
SELINUXTYPE=targeted
# SETLOCALDEFS= Check local definition changes
SETLOCALDEFS=0
SELINUX=disabled 수정하시후
재부팅 하시면 됩니다.
centos5 sendmail + pop3 설정+SMTPAUTH 사용 (3) | 2009.07.28 |
---|---|
centos5 DNS네임서버 구축 -bind설정- (0) | 2009.07.28 |
리눅스 하드디스크 배드 블럭 점검 badblocks (0) | 2009.07.14 |
리눅스 HDD(하드디스크) 추가 하기 (0) | 2009.07.13 |
[CentOS5] APM RPM설치시 실행 및 설정파일 위치 (0) | 2009.06.26 |
CentOS에서 간단 명령인 badblocks로 하드디스트의 배드를 체크하는 방법입니다.
발생하면 정상적 운영중에 다운이 발생하고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아 심각한 상황이 발생 할 수
있습니다.
=>다행히 Bad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. 36GB 읽기 테스트로 15분정도 걸린듯 합니다.
centos5 DNS네임서버 구축 -bind설정- (0) | 2009.07.28 |
---|---|
SELINUX 설정 해제 하기 (0) | 2009.07.15 |
리눅스 HDD(하드디스크) 추가 하기 (0) | 2009.07.13 |
[CentOS5] APM RPM설치시 실행 및 설정파일 위치 (0) | 2009.06.26 |
ethtool 설정하기 (0) | 2009.06.04 |
OS는 CentOS 5.3 입니다.
추가될 하드디스크를 시스템에 장착 합니다.
4. Command (m for help): w
SELINUX 설정 해제 하기 (0) | 2009.07.15 |
---|---|
리눅스 하드디스크 배드 블럭 점검 badblocks (0) | 2009.07.14 |
[CentOS5] APM RPM설치시 실행 및 설정파일 위치 (0) | 2009.06.26 |
ethtool 설정하기 (0) | 2009.06.04 |
CentOS 브릿지 방화벽 정책 (2) | 2009.05.31 |
지워진 파일의 복구 Restoration v3.2.13 (0) | 2009.08.08 |
---|---|
하드디스크(HDD) 배드 검사 프로그램 (0) | 2009.08.05 |
rowwrite Windows 버전 (0) | 2009.05.12 |
LG 30인치 패널 LM300WQ5 ICC 입니다. (0) | 2008.11.19 |
LG 30인치 패널 LM300WQ3 ICC 입니다. (0) | 2008.11.19 |
[PDA] 포켓플레이어 4.0 아이팟 스킨 적용 (1) | 2009.05.17 |
---|---|
[PDA] toggletoday 상단,하단 크기조절 (0) | 2009.05.17 |
[M4655] 기본제공 Any PC로 내PC를 원격제어 해보자 (0) | 2009.04.13 |
[M4655] 천지인 한글 입력 사용하기 (0) | 2009.04.13 |
[M4655] 마이 모바일러 (PDA제어 및 화면캡쳐) MyMobiler (2) | 2009.04.09 |
CentOS 5.0 기준
아파치 2.2.3
실행 : /etc/init.d OR service httpd start
설정파일 : /etc/httpd/conf
- 747라인 AddDefaultCharset UTF-8
- 391라인 디렉토리 인덱스 확인
AddType application/x-httpd-php .php .htm .php3 .html
AddType application/x-httpd-php-source .phps
UserDir public_html (362)
<Directory /home/*/public_html> (370-381)
홈폴더 : /var/www/html
기본 index.html
Mysql 5.0.45
실행 : /etc/init.d OR service mysqld start
DB파일위치 : /var/lib/mysql
소켓위치 : /var/lib/mysql/mysql.sock
log-error=/var/log/mysqld.log
pid-file=/var/run/mysqld/mysqld.pid
기타관련 파일 위치 : /usr/bin
mysqladmin도 여기에 위치함
PHP 5.1.6
설정파일 : /etc/php.ini
참고로 최신 CentOS 5.5 버전은
PHP 5.1.6
mysql 5.0.77
아파치 2.2.3
출처:본인글
리눅스 하드디스크 배드 블럭 점검 badblocks (0) | 2009.07.14 |
---|---|
리눅스 HDD(하드디스크) 추가 하기 (0) | 2009.07.13 |
ethtool 설정하기 (0) | 2009.06.04 |
CentOS 브릿지 방화벽 정책 (2) | 2009.05.31 |
CentOS5 리눅스 브리지 방화벽 구축 (1) | 2009.05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