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 - 해당되는 글 240건

1. sendmail 설정 (센트OS 5.3기준)
- 먼저 rpm -qa |grep sendmail 명령으로 sendmail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,
- 설치할 팩키지 -> yum install sendmail-cf-8.13.8-2.el5
- Pop3를 사용할려면 imap 팩키지가 설치되어 있어야 함(dovecot) -> 기본 imap에 비해 보안향상
- yum install dovecot-1.0.7-7.el5.i386

2. dovecot 설정
**/etc/dovecot.conf 화일 변경

20라인 protocal = pop3 pop3s imap imaps 주석제거
39라인 listen = [::] 주석제거

[test]# service dovecot start
Dovecot Imap (을)를 시작 중: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[  OK  ]
[test]# telnet localhost 110 => 110번 pop3 접속확인
Trying 127.0.0.1...
Connected to localhost.localdomain (127.0.0.1).
Escape character is '^]'.
+OK Dovecot ready.

3. sendmail 설정파일 위치
*smtp인증기능 추가위해 /etc/mail/sendmail.mc 52,53라인 주석제거 확인 후
TRUST_AUTH_MECH(`EXTERNAL DIGEST-MD5 CRAM-MD5 LOGIN PLAIN')dnl
define(`confAUTH_MECHANISMS', `EXTERNAL GSSAPI DIGEST-MD5 CRAM-MD5 LOGIN PLAIN')dnl


m4 /etc/mail/sendmail.mc > /etc/mail/sendmail.cf ->바뀐것을 적용한다.

*적용한후
- /etc/mail/sendmail.cf : 센드메일의 가장 기본적인 설치파일 -> 265라인에 addr 제거
 (O DaemonPortOptions=Port=smtp, Name=MTA 수정후임)
- 89라인 Cwlocalhost => 주석처리
- /etc/mail/access : 릴레이 허용파일,기본적으로 로컬만 허용, 허용할 IP,domain추가 한다.
*엑세스 파일 교체되면 makemap hash /etc/mail/access < /etc/mail/access 실행
- /etc/mail/local-host-names : 메일을 수신할 호스트이름 결정 (a.co.kr or mail.a.co.kr)

* 인증을 위한  SASL 라이브러리가 설치되어 있어야 함
cyrus-sasl-md5-2.1.19-5.EL4
cyrus-sasl-2.1.19-5.EL4
cyrus-sasl-plain-2.1.19-5.EL4
cyrus-sasl-devel-2.1.19-5.EL4
[root@test]# service saslauthd restart 실행


4. sendmail 데몬 시작 / 확인
- service sendmail start 또는 init/sendmail start
- 마지막으로 telnet localhost 25 로 접속해서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SMTP데몬이 돌고 있다.

* 인증확인
[test]# telnet localhost 25
Trying 127.0.0.1...
Connected to localhost.localdomain (127.0.0.1).
Escape character is '^]'.
220 test ESMTP Sendmail 8.13.8/8.13.8; Sun, 26 Jul 2009 10:03:01 +0900
ehlo localhost
250-test Hello hong [127.0.0.1], pleased to meet you
250-ENHANCEDSTATUSCODES
250-PIPELINING
250-8BITMIME
250-SIZE
250-DSN
250-ETRN
250-AUTH GSSAPI DIGEST-MD5 CRAM-MD5 LOGIN PLAIN
250-DELIVERBY
250 HELP

5. 최종 Outlook Express에서 테스트 한다. 메일계정 등록후

사용자 삽입 이미지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*도구-계정-메일-속성에서 서버탭에 인증필요 체크


                   *아웃룩에서 보내기 테스트


   * 받은메일 계정 Gmail 정상도착 => 답장보냄


    *답장도착 완료 =>정상적으로 작동된다.

 
|

Centos5.3 네임서버 설정 -실제도메인 적용-

Centos5.3 에서 실제 도메인을 사서 적용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기록한 내용입니다.
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
1. 도메인 구입처에서 도메인을 따고 네임서버을 등록한다
도메인명 : a.co.kr
IP : 221.X.X.X (네임서버사용할 IP 즉 BIND가 설치될 서버의 IP)
=>  참고로 1차 네임서버만 지정했습니다.

2. Centos에서 bind 설치확인 (caching-nameserver 설치요망)
[test]# rpm -qa | grep bind
ypbind-1.19-11.el5
bind-libs-9.3.4-10.P1.el5_3.1
bind-9.3.4-10.P1.el5_3.1
bind-utils-9.3.4-10.P1.el5_3.1
bind-chroot-9.3.4-10.P1.el5_3.1

[mail]# rpm -qa | grep nameserver
caching-nameserver-9.3.4-10.P1.el5_3.1 => 없으면 yum 으로 설치한다.
yum install caching-nameserver

3. conf 설정 /etc/named.caching-nameserver.conf 수정

options {
        listen-on port 53 { any; };
        listen-on-v6 port 53 { ::1; };
        directory       "/var/named";
        dump-file       "/var/named/data/cache_dump.db";
        statistics-file "/var/named/data/named_stats.txt";
        memstatistics-file "/var/named/data/named_mem_stats.txt";

        // Those options should be used carefully because they disable port
        // randomization
        query-source    port 53;
       
query-source-v6 port 53;

        allow-query     { any; };
};
logging {
        channel default_debug {
                file "data/named.run";
                severity dynamic;
        };
};
view localhost_resolver {
        match-clients      { any; };
       match-destinations { any; };
        recursion yes;
        include "/etc/named.rfc1912.zones";
};


4. zone파일 설정은 /etc/named.rfc1912.zones 추가 =>a.co.kr에 대한 존파일 설정(a.zone)

  zone "a.co.kr" IN {
          type master;
          file "a.zone";
          allow-update { none; };
  };

5. /var/named/chroot/var/named 에 zone파일 생성 (a.zone)

$TTL    43200
@               IN SOA  @       root (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42              ; serial (d. adams)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3H              ; refresh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15M             ; retry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1W              ; expiry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1D )            ; minimum

                IN NS             ns.a.co.kr.
                IN MX 10        mail.a.co.kr.
                IN A               221.X.X.X
mail          IN A               221.X.X.X
ns            IN A               221.X.X.X
www        IN A               221.X.X.X
ftp            IN A               221.X.X.X

*심볼릭 링크 안걸려도 작동 확인


6. named 재시작
*chown root.named a.zone 존파일 권한 설정

7. PC nslookup 으로 도메인 질의 => 찾는다.


|

테스트중인 SAS 서버(LSI SAS-1064E장착)에 파일백업 받을게 있어서 테스트겸 SATA하드 홧스왑으로

붙여 봤는데 잘 작동 되네요...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서버 스펙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이슬림 : SV-2186 Dual
CPU : Intel 5130 Dual Core/2.0Ghz/FSB 1333Mhz / L2 캐쉬 4MB
RAM : FB-DIMM PC2-5300 1GB
크기 : IU
RAID : LSI-1064E SAS / HDD : 72GB*2 SAS / 추가 SATA 160GB*1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사용자 삽입 이미지
   추가할 시게이트 사타 하드

사용자 삽입 이미지
    운영중인 서버에 하드장착

사용자 삽입 이미지

윈도우즈 컴퓨터관리-디스크관리에서 자동으로 올라오는것 확인

|

HP DL580G4 팬 불량건으로 교체!!

HP System Tools => HP ProLiant intergrated management Log View 실행하면 장비에

발생되는 로그확인 가능

사용자 삽입 이미지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<팬 5번 에러 발생 확인>

로그확인 HP서버 엔지니와 스케줄 잡아서 교체함


사용자 삽입 이미지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<분리된 팬>

모듈화 형식이라 바로 쏘옥~~빠짐~

교체후 외부 LED에서 정상 확인 완료~

|

SELINUX 미국국가 안보국에서 개발한 오픈소스로 리눅스에 보단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지만 복잡하고

일부서비스가 제한되기 때문에 혹시 설정되어 있다면 해제하는 방법입니다.(2.6커널부터 지원)


/etc/selinux/config 열면

# This file controls the state of SELinux on the system.
# SELINUX= can take one of these three values:
#       enforcing - SELinux security policy is enforced.
#       permissive - SELinux prints warnings instead of enforcing.
#       disabled - SELinux is fully disabled.
SELINUX=disabled
# SELINUXTYPE= type of policy in use. Possible values are:
#       targeted - Only targeted network daemons are protected.
#       strict - Full SELinux protection.
SELINUXTYPE=targeted

# SETLOCALDEFS= Check local definition changes
SETLOCALDEFS=0

SELINUX=disabled 수정하시후
재부팅 하시면 됩니다.


|

CentOS에서 간단 명령인 badblocks로 하드디스트의 배드를 체크하는 방법입니다.
발생하면 정상적 운영중에 다운이 발생하고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아 심각한 상황이 발생 할 수
있습니다.

명령어
badblocks -b 블럭크기 -o 출력파일 -v 장치명
ex) badblocks -v /dev/sdb
ex) badblocks -v -o sdb_bad.txt /dev/sdb
옵션
-b :블럭을 바이트 단위로 표시
-o : 출력파일 설정
-v : 상세 정보를 출력한다.
-w : 쓰기모드 테스트 한다. 시간이 많이 걸리고 데이타삭제되니 주의한다.

[TEST]# badblocks -v /dev/sdb
Checking blocks 0 to 35916548
Checking for bad blocks (read-only test): done
Pass completed, 0 bad blocks found.

=>다행히 Bad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. 36GB 읽기 테스트로 15분정도 걸린듯 합니다.

|

OS는 CentOS 5.3 입니다.
추가될 하드디스크를 시스템에 장착 합니다.

1. [TEST]# fdisk /dev/sdb
=> 추가될 두번째 하드를 FDISK로 불러 들인다.

2. Command (m for help): p
=>P를 쳐서 하드 정보를 본다.
Disk /dev/sdb: 36.7 GB, 36778545152 bytes
255 heads, 63 sectors/track, 4471 cylinders
Units = cylinders of 16065 * 512 = 8225280 bytes
    Device Boot      Start         End      Blocks   Id  System

3. Command (m for help): n
=>n명령어로 새로하드를 추가한다. 
(p는 프라이머리 파티션, e는 익스텐드 파티션이다. 익스텐드 파티션은 로직컬 드라이브 잡아야한다.) 

  4. Command (m for help): w
=>w로 정보를 저장한후 Fdsik 로 빠져나온다.
The partition table has been altered!
Calling ioctl() to re-read partition table.

5. 파일시스템을 포맷한다.
 mkfs -t ext2 /dev/sdb1 =>EXT2 포맷
 mke2fs -j /dev/sdb1   =>EXT3 포맷

Writing inode tables: done
Creating journal (32768 blocks): done
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: =>포맷완료

6. [TEST]# mount -t ext3 /dev/sdb1 /sdb

자동인식되겠끔 fstab에 잡아준다.
/dev/sdb1               /sdb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ext3    defaults        0 0

부팅 후 정보확인
Filesystem            Size  Used Avail Use% Mounted on
/dev/sdb1              34G  177M   32G   1% /sdb

|

사용자 삽입 이미지


윈도우즈 프로세스 정보 보여주는 프로그램 입니다. Proxess Exploer  입니다.

netstat -ano 명령어로 특정포트 PID값을 알아내는후 Proxess Exploer   올라왔있는지

확인 해 보세요.

 
출처 :  http://www.sysinterals.com/
|


X301, X310, X501, X510 2GB인식 패치 입니다.  제조회사는 없고

오래된 제품 네비활용하기 위해 구했습니다. 최신롬 패치하면 2GB지원되는데

구하기가 쉽지 않네요..

액티브싱크 연결된 상태에서 실행하시면 됩니다.

|

CentOS 5.0 기준

아파치 2.2.3
실행 : /etc/init.d OR service httpd start
설정파일 : /etc/httpd/conf
 - 747라인 AddDefaultCharset UTF-8
 - 391라인 디렉토리 인덱스 확인

AddType application/x-httpd-php .php .htm .php3 .html
AddType application/x-httpd-php-source .phps

UserDir public_html (362)

<Directory /home/*/public_html> (370-381)

홈폴더 : /var/www/html
기본 index.html

Mysql 5.0.45
실행 : /etc/init.d OR service mysqld start
DB파일위치 : /var/lib/mysql
소켓위치 : /var/lib/mysql/mysql.sock
log-error=/var/log/mysqld.log
pid-file=/var/run/mysqld/mysqld.pid
기타관련 파일 위치 : /usr/bin
mysqladmin도 여기에 위치함

[root@firewall bin]# service mysqld start
MySQL 데이타베이스를 초기화하는 중:  Installing MySQL system tables...
OK
Filling help tables...
OK
To start mysqld at boot time you have to copy
support-files/mysql.server to the right place for your system
PLEASE REMEMBER TO SET A PASSWORD FOR THE MySQL root USER !
To do so, start the server, then issue the following commands:
/usr/bin/mysqladmin -u root password 'new-password'
/usr/bin/mysqladmin -u root -h firewall password 'new-password'
See the manual for more instructions.
You can start the MySQL daemon with:
cd /usr ; /usr/bin/mysqld_safe &
You can test the MySQL daemon with mysql-test-run.pl
cd mysql-test ; perl mysql-test-run.pl
Please report any problems with the /usr/bin/mysqlbug script!
The latest information about MySQL is available on the web at
http://www.mysql.com
Support MySQL by buying support/licenses at http://shop.mysql.com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[  OK  ]
MySQL (을)를 시작 중: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[  OK  ]

=>처음 데몬을 실행하면 DB을 초기한다.

[root@firewall bin]# mysql -u root -p
Enter password:
Welcome to the MySQL monitor.  Commands end with ; or \g.
Your MySQL connection id is 3
Server version: 5.0.45 Source distribution
Type 'help;' or '\h' for help. Type '\c' to clear the buffer.
mysql> quit
=>초기는 root 암호없이도 접속가능

[root@firewall ~]# mysqladmin -u root password '암호'   => 암호설정
[root@firewall ~]# mysql -u root -p => 연결
Enter password:


PHP 5.1.6
설정파일 : /etc/php.ini


참고로 최신 CentOS 5.5 버전은
PHP 5.1.6
mysql 5.0.77
아파치 2.2.3


출처:본인글

|

샹콤홍쓰's Blog is powered by Daum & tistory